✈️ 대만 여행, 입국 첫 관문! 종이 입국신고서 작성, 10분 만에 끝내는 초간단 가이드 🖋️
대만 여행의 설렘을 안고 비행기에 몸을 실었을 때, 기내에서 나눠주는 종이 입국신고서(Arrival Card)를 마주하면 잠시 당황할 수 있습니다. 온라인 입국신고서가 간편해졌다고 하지만, 종이 양식을 선호하거나 불가피하게 작성해야 할 상황을 위해 준비했습니다. 헷갈리기 쉬운 항목부터 빠르고 정확하게 작성하는 ‘매우 쉬운 방법’을 구체적으로 알려드립니다. 이 가이드만 있다면 걱정 없이 입국 심사대를 통과할 수 있습니다.
목차
- 대만 종이 입국신고서 작성, 왜 알아야 할까요?
- 온라인 신고의 대안: 종이 작성의 필요성
- 입국신고서 작성 전 준비물 및 기본 원칙
- 준비물 목록
- 작성 시 핵심 원칙
- 종이 입국신고서 항목별 매우 쉬운 작성 방법 (필수 기재 항목 중심)
- 개인 인적 사항 (Personal Information)
- 여권 및 비자 정보 (Passport & Visa Information)
- 여행 및 체류 정보 (Travel & Stay Information)
- 연락처 정보 (Contact Information)
- 작성 완료 후 최종 점검 및 유의사항
- 빠른 통과를 위한 팁
온라인 신고의 대안: 종이 작성의 필요성
온라인 입국신고서(Online Arrival Card) 작성은 대만 입국을 위한 가장 추천되는 방법입니다. 사전에 작성해두면 입국 심사 시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, 특히 자동 출입국 심사대(e-Gate) 등록을 위한 필수 단계이기 때문입니다.
하지만 종이 입국신고서 작성법을 알아두는 것은 여전히 중요합니다.
- 온라인 신고를 깜빡했을 경우: 출국 전 온라인 신고를 놓쳤거나, 공항에 도착해서야 알게 된 경우, 종이 신고서 작성은 필수입니다.
- 시스템 장애 대비: 간혹 온라인 시스템에 일시적인 장애가 발생하거나, 인터넷 연결이 원활하지 않을 때 종이 신고서가 대안이 됩니다.
- 현장에서 즉시 작성: 기내에서 승무원이 배부하는 양식을 바로 작성하여 시간을 절약하고자 할 때 유용합니다.
종이 신고서는 기본적으로 영어 또는 중국어(번체)로 작성해야 하며, 모든 필수 정보는 여권 및 항공권 정보와 일치해야 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.
준비물 목록 및 작성 시 핵심 원칙
종이 입국신고서를 빠르고 정확하게 작성하기 위해, 필요한 자료를 미리 준비하고 핵심 원칙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준비물 목록
- 1. 여권 (Passport): 이름, 여권 번호, 생년월일, 국적 등 개인 정보의 원천입니다.
- 2. 항공권 (Boarding Pass/E-Ticket): 입국/출국 항공편명 (Flight No.), 항공사 이름, 대만 도착일(Date of Arrival) 등 여행 정보를 확인합니다.
- 3. 대만 내 체류지 주소 (Accommodation Address in Taiwan): 호텔 또는 숙소의 영문 이름과 주소를 미리 메모해 두거나 예약 내역을 준비합니다.
작성 시 핵심 원칙
- 영문 대문자(Block Letters) 사용: 모든 항목은 알아보기 쉽도록 영문 대문자로 작성하는 것이 원칙입니다.
- 정확한 정보 기입: 여권, 항공권 정보와 단 1글자도 틀리지 않게 일치시켜야 합니다.
- 체류지 주소: 숙소 주소는 호텔 이름(Hotel Name)과 도시(City) 정도만 명확히 적어도 무방합니다. 자세한 번지수까지 요구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.
종이 입국신고서 항목별 매우 쉬운 작성 방법 (필수 기재 항목 중심)
대만 입국신고서는 크게 네 가지 섹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, *표시된 필수(Mandatory) 항목만 빠짐없이 채우는 것이 가장 빠른 작성 방법입니다.
개인 인적 사항 (Personal Information)
| 항목 (Field) | 필수 여부 | 작성 방법 | 작성 예시 (홍길동) |
|---|---|---|---|
| 성 (Family Name / Last Name) | 필수 | 여권의 성을 영문 대문자로 기재. | HONG |
| 이름 (Given Name / First Name) | 필수 | 여권의 이름을 영문 대문자로 기재. | GILDONG |
| 생년월일 (Date of Birth) | 필수 | 일/월/년(DD/MM/YYYY) 순서로 기재. | 01/01/1990 |
| 성별 (Gender) | 필수 | 해당되는 곳(Male/Female)에 체크. | MALE 체크 |
| 국적 (Nationality) | 필수 | 대한민국 (Republic of Korea)을 기재. | REPUBLIC OF KOREA |
[쉬운 작성 팁] 이름과 성은 여권에 적힌 그대로 띄어쓰기 없이 붙여서 작성하는 실수를 방지하고, 정확한 철자를 확인합니다.
여권 및 비자 정보 (Passport & Visa Information)
| 항목 (Field) | 필수 여부 | 작성 방법 | 작성 예시 |
|---|---|---|---|
| 여권 번호 (Passport Number) | 필수 | 여권 앞면의 번호를 기재. (보통 8자리) | XXXXXXXXX |
| 비자 유형 (Visa Type) | 필수 | 관광 목적의 한국 국적자는 VISA EXEMPT (비자 면제)에 체크 또는 기재. | VISA EXEMPT |
| 비자 번호 (Visa Number) | 해당 시 | 비자 면제(VISA EXEMPT)의 경우 작성하지 않습니다. | N/A |
[쉬운 작성 팁] 일반적인 관광객은 무비자(Visa Exempt)로 90일 체류가 가능하므로, Visa Type에서 반드시 VISA EXEMPT를 선택/기재해야 합니다.
여행 및 체류 정보 (Travel & Stay Information)
| 항목 (Field) | 필수 여부 | 작성 방법 | 작성 예시 |
|---|---|---|---|
| 항공편명 (Flight/Vessel No.) | 필수 | 대만 도착 항공편의 항공사 코드 + 숫자를 기재. (예: 대한항공 KE, 아시아나 OZ) | KE693 |
| 대만 도착일 (Date of Arrival) | 필수 | 일/월/년(DD/MM/YYYY) 순서로 기재. | 05/12/2025 |
| 방문 목적 (Purpose of Visit) | 필수 | SIGHTSEEING (관광)에 체크 또는 기재. (사업은 BUSINESS) | SIGHTSEEING 체크 |
| 직업 (Occupation) | 필수 | 본인의 직업을 영문으로 간략히 기재. (예: 회사원 OFFICE WORKER, 학생 STUDENT) | OFFICE WORKER |
| 대만 내 체류 주소 (Address in Taiwan) | 필수 | 호텔 이름과 도시 이름을 영문으로 간략하게 기재. (번지수 생략 가능) | HOTEL GRAND HYATT TAIPEI |
[쉬운 작성 팁] 체류 주소는 입국 심사관이 빠르게 확인할 수 있도록 호텔 이름과 도시명만 명확하게 적는 것이 시간을 절약하는 길입니다.
연락처 정보 (Contact Information)
| 항목 (Field) | 필수 여부 | 작성 방법 | 작성 예시 |
|---|---|---|---|
| 본국 주소 (Home Address) | 선택적 | 필수 항목이 아닌 경우 국가명 (Republic of Korea)만 기재해도 무방합니다. | REPUBLIC OF KOREA |
| 휴대전화 번호 (Mobile Phone No.) | 필수 | 대한민국 국가번호(+82)를 제외하고 ‘0’을 뺀 나머지 번호를 기재. | 10XXXXXXXXX (010의 0 제외) |
| 이메일 주소 (E-mail Address) | 선택적 | 비상 연락을 위해 기재해두는 것이 좋습니다. | EXAMPLE@GMAIL.COM |
작성 완료 후 최종 점검 및 유의사항
입국신고서 작성을 마쳤다면, 제출하기 전에 반드시 다음 세 가지 사항을 최종 점검해야 합니다.
- 누락된 필수 항목 확인: 모든 *표시된 필수 항목이 빠짐없이 채워졌는지 확인합니다.
- 정보 일치 여부 확인: 이름, 여권 번호, 항공편명 등 모든 정보가 여권/항공권과 완벽하게 일치하는지 재차 확인합니다. 철자가 틀릴 경우 입국 심사대에서 시간을 지체할 수 있습니다.
- 서명 (Signature): 마지막으로 서명란에 본인의 여권 서명과 동일한 서명을 합니다.
이렇게 작성된 종이 입국신고서를 여권과 함께 입국 심사관에게 제출하면, 대만 입국 절차는 문제없이 마무리될 것입니다. 온라인 신고서를 작성하지 못한 상황이라도 당황하지 마시고, 이 가이드를 참고하여 침착하게 작성하시길 바랍니다.